공지사항

2010한국장애인인권상 인권의 지평을 넓힌 주인공을 찾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0-08-06 12:24 조회8,202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 한국장애인인권상 상금 1,000만원과 상패 시상

□ 기초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대상 국회의장상 및 국가인권위원장상 수여

□ 2010. 10. 8(금)까지 후보접수
 

한국장애인인권상위원회는 지난 한 해 동안 장애인인권증진과 차별금지에 앞장 서 온 개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2010한국장애인인권상 수상후보자를 공모한다.

한국장애인인권상은 UN이 천명한 장애인권리선언(1975.12.9)과 대한민국 장애인인권헌장(1998.12.9)의 이념을 반영하고, 2008년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구체적 실천을 앞장 서 온 우리사회 의인을 발굴해 오고 있다.

시상부문은 장애인의 삶에 영향을 직접적 연관을 맺고 있는 각 분야로 나누어진 5개 부문이다.


분야

부문

수상자

포상

한국장애인인권상

위원회상

인권정책부문

1명(또는 1개소)

각 상금 1,000만원

및 상패

인권실천부문

1명(또는 1개소)

인권매체부문

1명(또는 1개소)

국회의장상

기초자치부문

기초지자체 1개소

국회의장상장

국가인권위원장상

공공기관부문

공공기관 1개소

국가인권위원장상장



□ 장애인차별금지와 인권증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 시상

먼저 장애인과 관련된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거나, 현행 정책의 미비점 개선에 노력한 개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인권정책부문 수상자를 공모하여, 상금 1,000만원과 한국장애인인권상패를 수여한다.

또한 일상생활 내 장애인의 차별문제 해소를 위해 노력한 개인과 단체에 대해서 인권실천부문, 방송언론 및 대중매체를 통해 장애인인권을 증진한 개인과 단체에 대해 인권매체부문의 수상자를 공모하며 각 1,000만원의 상금과 한국장애인인권상패가 수여된다. 

□ 장애인인권증진 기초지자체에서 출발해야

중앙정부의 제도와 국회가 만들어 낸 법이 장애인인권을 담보하고 있어도 이를 장애인의 삶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기초지방자치단체가 노력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서의 장애인의 권익을 담보할 수 없다.

한국장애인인권상위원회는 우리나라 모든 곳이 장애인 차별이 없는 곳으로 만들어 내기 위해 지난 해 부터 장애인인권증진의 실천에 앞장서고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발굴, 접수, 심사하여 국회의장상에 추천하고 있다.

한국장애인인권상 국회의장상 ‘기초자치부문’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자기추천과 지역 복지기관의 추천으로 공모할 수 있다. 

□ 공공부문 내 온전한 장애인인권을 바란다.

올해부터 장애인인권증진에 기여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한국장애인인권상 국가인권위원장상장 공공기관부문이 신설되었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모든 공공기관과 그 부속조직 및 부서가 대상이 되며, 공공기관 내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 실천이나 대사회적 장애인인권증진에 노력한 기관을 대상으로 수상후보자를 공모한다.

특히, 공공기관부문은 대한민국 인권의 첨병인 국가인권위원장 명의의 시상이어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

□ 2010한국장애인인권상 추천 접수 안내

○ 행사명: 2010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 및 장애인인권헌장 선포 12주년 기념식

○ 부 문: 인권정책부문, 인권실천부문, 인권매체부문, 인권자치부문, 인권공공부문

○ 포 상

- 인권정책/실천/매체 부문 각 상패 및 상금 1,000만원

- 인권자치부문: 국회의장상장

- 인권공공부문: 국가인권위원회상장

○ 접수처: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7-13 이룸센터 4층 한국장애인인권상위원회

○ 접수기한: 2010년 10월 8일(금) 도착분에 한함

○ 주 관: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지 원: (주)현대홈쇼핑, 보건복지부

○ 후 원: 국가인권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KBS, MBC, SBS, EBS, OBS, 동아일보, 한겨레, 국민일보, 문화일보, 조선일보, 에이블뉴스 (예정기관 포함)

 ※별첨: 한국장애인인권상 역대수상자

□ 한국장애인인권상 역대수상자

'99

엠마우스복지관, 박정자(한국청각장애인부모회), 양신명(서울정신지체인애호협회)

'00

정강용(충남산림환경연구소), 강릉여성의전화, 황기연(장애인신문 대전충남기자)

'01

사회복지법인 다운회, 유공열(성동경찰서), 오용균(사단법인 모두사랑)

'02

장애인이동권연대, 양재근(한국농아인제주도협회), 박지주(숭실대학교)

'03

백위열(나사렛대학교), 이상택(광주광역시의회), 한국뇌성마비장애인연합

'04

장애인교육권연대, 김정권(대구대학교), 안영회(아름다운 손짓)

'05

한국농아인협회, 서미혜(원주장애인종합복지관), 금성찬(EBS), 정윤철(말아톤), 법무부 대전의료소년원

'06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제라딘라이안(명도복지관), 삼성화재해상보험, 솟대문학, 내일은 푸른하늘

'07

박성수(강원명진학교), 신정순(한국뇌성마비복지회), 현대·기아자동차그룹, SOS 24,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08

장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송경태(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 김승국(단국대학교), (주)엑스비전테크놀로지, 에이블뉴스

'09

(사)열린네트워크, 임지봉(서강대학교), mbc시사교양국, 경기도 화성시 , 광주남구청